
한부모 가정을 위한 지원금,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
한부모 가정이라면 생계비, 주거비, 교육비, 의료비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“어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?” 또는 “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?” 몰라서 놓치는 경우도 많죠.
그래서 오늘은 복지 전문가의 글을 인용하여 한부모 지원금을 알차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.
1. 한부모 지원금이란?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
한부모 가정은 이혼, 별거, 배우자의 사망 등으로 인해 자녀를 혼자 키우는 가정을 뜻합니다.
정부에서는 한부모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복지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어요.
<누가 받을 수 있나요?>
-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인 가구
-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한부모(모·부 포함)
- 소득과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가정
한부모 가정이라고 해서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, 소득과 재산 기준이 충족되어야 신청 가능합니다.
2. 한부모 가정을 위한 대표적인 지원금 종류
그렇다면 한부모 가정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
대표적으로 다섯 가지를 기억해 두시면 됩니다.
<지원금 종류 주요 내용 신청 방법>
생계비 지원 | 한부모 가정을 위한 월별 지원금 지급 |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|
주거비 지원 | 전세자금 대출 및 공공임대주택 혜택 제공 | LH, SH 또는 지자체 주거복지센터 |
교육비 지원 | 초·중·고 학비 면제 및 대학 장학금 지원 | 학교 행정실 또는 한국장학재단 |
의료비 지원 | 의료급여 및 긴급복지 의료비 지원 | 주민센터 및 병원 연계 |
양육비 지원 | 아동 양육비 및 추가 보조금 지원 | 한부모가족 지원센터 |
이제 각각의 지원금을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?
3. 생계비 지원: 한부모 가정을 위한 기본 생활비 보조
경제적으로 어려운 한부모 가정이라면,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<지원 내용>
- 1인 가구: 월 62만 원
- 2인 가구: 월 105만 원
- 3인 가구: 월 134만 원
- 4인 가구: 월 162만 원
<신청 방법>
-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/) 에서 온라인 신청
-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후 서류 제출
💡 Tip!
“소득이 조금만 초과해도 못 받나요?”
👉 그렇지 않습니다. 소득과 재산을 고려한 ‘소득인정액’ 기준이 있기 때문에, 꼭 확인해 보세요!
4. 주거비 지원: 전세자금 대출 & 공공임대주택 혜택
집 걱정을 덜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 특별 공급과 전세자금 대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<지원 내용>
-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 기회
- 전세자금 대출 이자 감면
- 보증금 일부 지원 가능
<신청 방법>
- LH 청약센터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
- 거주 지역별 주거복지센터에 문의
💡 Tip!
“서울과 지방은 혜택이 다를까요?”
👉 맞습니다! 서울과 수도권은 공공임대 비율이 높고, 지방은 전세자금 대출 지원이 더 강화되어 있어요.
5. 교육비 지원: 학비부터 대학 장학금까지
한부모 가정의 자녀는 초·중·고등학교 학비 면제와 대학 국가장학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<지원 내용>
- 초·중·고 학비 및 급식비 지원
- 대학생 국가장학금 (특별 유형) 신청 가능
- 방과 후 수업비 및 교재비 보조
<신청 방법>
- 학교 행정실 방문 신청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6. 의료비 지원: 병원비 부담 줄이는 방법
한부모 가정이 기초생활수급자라면,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<지원 내용>
- 의료급여 1종: 입원비 무료, 외래진료비 1,000~2,000원
- 의료급여 2종: 입원비 10%, 외래진료비 15% 부담
<신청 방법>
- 주민센터 방문 신청
-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7. 양육비 지원: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를 위한 보조금
한부모 가정이라면 아이를 위해 양육비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< 지원 내용>
- 5세 이하 아동 월 20만 원 지원
- 한부모 가정 양육비 추가 지원 가능
<신청 방법>
- 한부모가족 지원센터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
8.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는 꿀팁
✅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/)에서 한 번에 확인
✅ 소득·재산 기준 미리 체크하기
✅ 필요 서류(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등) 미리 준비하기
'더불어 사는 세상[사회복지정책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공유누리'를 아시나요?(공공개방자원 플랫폼)-PDF첨부 (2) | 2025.02.03 |
---|---|
'나쁜 엄마, 나쁜 아빠'들~ 이젠 나라에서 관리합니다!!(양육비 이행 관리원 제도) (1) | 2025.02.03 |
2025년 '청년도약계좌' vs. '청년내일저축계좌' 비교 및 수혜 조건 (2) | 2025.02.01 |
출산 장려 정책! 먼저 힘쓰는 금융업계(저출산 사회 현 상황 인식을 중심으로) (6) | 2025.01.31 |
폭설 내리는 혹한기~ 가장 필요한 사회 복지 지원은?(한부모가족 중심) (2) | 2025.01.31 |